임신 준비

여성 생식기 초음파

01여성 생식기 초음파

첫 방문 시 자궁과 난소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합니다.
자궁내막용종, 자궁근종, 난소물혹 등의 이상소견을 진단합니다.

난소예비능

02난소예비능(AMH: Anti-Müllerian hormone)

임신을 계획 중인 기혼 여성 뿐만 아니라, 난자 냉동을 고려하는 미혼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합니다.

산전 혈액검사

03산전 혈액검사

생리주기 2-3일 째에 여성 호르몬 검사를 진행하며,
그 외에도 갑상선 호르몬, 유즙분비 호르몬, 비타민D, 항체 등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항목들을 확인합니다.

자궁나팔관조영초음파

04자궁나팔관조영초음파(HyCoSy)

생리주기 7~10일 째에 자궁나팔관조영초음파(HyCoSy)를 통해
양쪽 나팔관 개통 유무를 확인합니다.
3D 초음파 장비가 구비되어 있어 자궁기형 여부도 확인 가능합니다.

정액 검사

05정액 검사

약 2~3일 간의 금욕, 금주, 금연 후 검사합니다.
난임 원인의 35~40%는 남성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액 검사를 통해 정자의 수, 운동성, 정상모양 비율 등을 확인합니다.

난자 냉동

난자 냉동

여성은 만 35세를 기점으로 임신율은 낮아지고 유산율이 증가합니다.

최근 우리나라 결혼 및 임신계획이 늦어지는 추세입니다.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았거나 임신 계획을 늦추고 싶은 여성의 경우
미리 난자를 냉동해 두면, 추후 냉동난자를 이용해 임신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난소기능 감소가 예상되는 치료(항암/방사선치료, 난소수술) 혹은 난소나이 검사 상 조기 폐경 위험이 있는 여성도 난자 냉동 시술의 대상입니다.

난자냉동은 시험관아기 시술 과정과 동일합니다. 약 10~14일 정도 과배란 주사를 맞고 수면마취 하 바늘로 난자를 채취합니다.
채취 후 동결된 난자는 추후 해동 및 배우자의 정자와 수정 과정을 거쳐 배아로 만들어 자궁 내 이식하게 됩니다.

배란 유도

배란 유도

배란 유도

생리주기가 불규칙적이고 배란이 잘 되지 않는 여성에게 경구 배란유도제 혹은 배란유도 주사를 투여합니다.
약물 용량을 조절해 배란되는 난포 개수 또한 조절 가능합니다.

이후 배란 예상 시기에 초음파를 보고 특정 날짜에 부부관계를 하도록 안내합니다.

인공수정

인공수정

인공수정

운동성 있는 정자를 선별한 후 여성의 배란기에 맞춰 자궁 내로 넣어주는 시술입니다.

평균 성공률은 15~20% 정도이지만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습니다.

시험관아기

시험관아기

시험관아기

과배란 주사를 맞아 여러 개의 난포를 키운 다음 수면마취 후 바늘로 난자를 채취합니다.
남편의 정자와 수정시켜 3~5일 후 자궁 내로 배아를 넣어줍니다.

평균 성공률은 30~40% 정도이지만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습니다.

close